본문 바로가기
궁금증 해결

영어 간판이 불법이라고? 한글은 사라지고 많아지는 외래어 간판들

by 딸기C 2023. 9. 4.
한글은 사라지고 많아지는 외래어 간판

뉴스를 보다가, 간판과 메뉴판에서 한글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뉴스를 봤다. [서울 압구정 로데오 거리 간판 10개 중 7개는 외국어 간판 법 시행령 위반 사례 수두룩한데 정부는 "처벌 어려워"] 어제 친구를 만난 카페도 영어로, 옷 가게 이름도, 초밥집 이름도 모두 외래어였다.

옥외광고물이란?

옥외광고물이란, 공중에게 항상 또는 일정 기간 계속 노출되어 통행하는 장소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간판, 디지털 광고물, 입간판, 현수막 등 이와 유사한 것을 말하고 있다. 쉽게 말하면 간판은 대다수의 시민이 보는 만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글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 시행령 제12조 2항

광고물의 문자는 원칙적으로 한글 맞춤법, 국어의 로마 표기법 및 외래어표기법 등에 맞추어 한글로 표시해야 하며 외국 문자로 표시할 경우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병기해야 한다 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특별한 사유에는 여러 가지가 포함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배제 대상

옥외광고물 법 배제 대상에는 면적이 5제곱미터 이하로 건물의 3층 이하 앞 벽면에 표시하는 것 또는 광원이 직접 노출되는 네온류 전광류 디지털 광고가 아닌 경우와 건물 출입구 양옆에 세로로 표시되는 간판 등이다. 4층 미만 측에 달려있거나, 간판 면적이 5제곱미터 미만이라면 법을 위반했다고 볼 수 없는 것이다.

영어 간판 과태료

허가 또는 신고 대상의 간판을 외국어로만 표기한 경우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 실제로 국민은행이 KB로만 표기한 국민은행과 KT가 옥외 광고물 법을 위반했다는 판결이 있다.

 

그런데! 상표법에 따르면 특허청에 영어로 등록된 상표를 그대로 표시할 경우 외국어만 쓰인 간판을 걸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타벅스, 버거킹, 아디다스 등 영어로 상표권 등록이 된 대형 프렌차이들이 다수 포함된다. 법 문구만 보면 외국어 표기 간판이 불법인 것은 맞으나 현장 단속에는 다소 모호한 부분이 있다. 더 명확한 지침이 있어야 할 때인 것 같다.

 


간판과 더불어 영어로 된 메뉴판이 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메뉴판은 이 가게를 목적을 갖고 들어왔기 때문에 불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외국어 능력에 취약한 사람들에게 정보 전달의 어려움을 주고 있다. 외국어를 모르는 사람이더라도 충분히 알아볼 수 있어야 한다. 또, 한국적인 멋, 도시경관을 해치고 있다고 생각한다.